본문 바로가기
재테크/ETF

파킹형(금리형) ETF 사용하고 계신가요?

by freedom 2024. 5. 24.

ETF란?

 1. 파킹형 ETF란?

 파킹형 ETF는 금리형 ETF 라고도 불리며 시중 금리 지수(CD, KOFR)를 추종하는 ETF이며,
 파킹통장과 같이 자금을 넣고 뺄 수 있습니다.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이상 꾸준히 수익을 낼 수 있어서 안정적이며 은행의 예적금보다
 비교적 수익률과 자유도가 높아서 최근 파킹통장이나 CMA보다 인기가 올라가고 있는 상품입니다.

 

CD금리(양도성예금증서)


KOFR금리(한국무위험지표금리)

 

 

 2. 파킹형 ETF 종류

 대표적인 파킹형 ETF(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입니다.)

1)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2)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3)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4)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3. 파킹형 ETF 장점

1) 이자가 매일매일 나옴
 매일 이자가 붙는 일복리가 적용되므로 복리의 마법을 누릴 수 있음.
2) 과세이연 상품
 세금은 ETF를 매도할때 냄(평소엔 복리가 됨)
 기타 ETF 세금 : 보유 중 수익, 과표증분 중에 더 적은 값의 15.4%를 냄(보통 과표증분이 적음)
 오른 금액에 대해서 세금을 냄
3) 운용제한이 없음
 예적금의 경우 조건이 충족되야 최대금리를 받을 수 있고 금액의 상한선이 있는 경우가 있으나
 파킹형 ETF의 경우 가입을 위한 조건이나 금액제한이 없으며 원할 때 매도, 매수를 통해 자금 운용 가능합니다.
4) 절세 계좌에서 운용가능
 절세계좌(ISA, IRP, 연금저축)에서 운용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부과되는 세금(15.4%)을 줄일 수 있습니다.
5) 주가가 계속 우상향함
 금리를 추종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상승폭이 줄어들수는 있지만 마이너스로 되지는 않습니다.

 

 4. 파킹형 ETF 단점

1) 파킹통장에 비해 파킹ETF는 매도 후 2일간 돈이 묶이는 기간이 존재합니다.
2) ETF상품이기 때문에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3) 별도의 운용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5. CMA, 파킹통장 비교

파킹통장

CMA

 

 

ETF명칭

 6. 생각

 오늘 기준(2024.05.24)
 파킹 ETF와 CMA,의 경우에는 비슷한 금리가 조회가 되며 파킹통장은 그래도 0.1% 금리가 낮은게 확인됩니다.

 자주 돈을 빼서 써야하는 경우에는 파킹 ETF보다는 파킹통장이 좋은점이 있고 자주 돈을 빼지않고 남은 금액을 무조건 넣는다는 개념이라면 파킹 ETF가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투자는 본인판단으로 해야하는 부분이므로 여러가지 상품을 알아보고 본인과 맞는 상품으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